걸음은 이음이다 삶은 '사+람'이다. 사람은 동물과 달리 생리적 조산 상태로 태어난다. 즉, 생후 1년까지는 동물로 본다. 그래서 영어권에서는 영유아에게 It이라고 표현 한다. 우리가 동물에서 사람으로 거듭나는 결정적인 이벤트는 독립보행이다. 한사람의 삶은 걸음으로 시작된다. 장애로 인해 ..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1.03
커뮤니티케어 현장 :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와 연계하여 보약같은 운동교실을 매주 월, 목 주 2회 진행한다. 10여년전부터 장애인의 신체활동은 생명입니다. 라는 컨셉으로 시작했다 그때는 개인의 건강관리차원에서 시작했다. 지금은 지역사회중심의 돌봄자원에서 진행한다. 결국 이것도 하나의..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27
커뮤니티케어현장: 꿈자람공동육아나눔터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이 시작된다. 공동육아 나눔터에서 보호자는 육아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아이는 신나게 논다. 건강한 부모자식은 건강한 가정을 만들고 이러한 가정이 건강한 지역사회의 디딤돌이 된다. 별것아닌것처럼 보이지만 주거지 인근에서 운영되는 이러한 공동체가 ..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24
백세혈관의 황금비율 1:4:5 혈관에 쌓이는 혈전을 청소하는 빗자루 역할하는 HDL이 40개라면 LDL이 160, TG가 200 이상이면 이상징후란다. HDL수치를 높이는게 좋을까? 아니면 LDL과 TG수치를 낮추는 것이 옳을까?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23
언제쯤 우리는 이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까? 부럽다. 마을중간조직을 만들고 그들의 역량을 키우고 실행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지역의 공통점은 마을퍼실리테이터가 있다는 것이다. 건플행플사업도 10년이 됐지만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는 상황인데 커뮤니티케어 광풍이 밀려 온다. 우왕..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22
커뮤니티비즈니스 메카. 완주로 가다 커뮤니티비즈니스의 메카라고 생각하는 곳이 있다. 나만이 아니다. 안다는 사람은 모두가 이렇게 생각한다. 완주공동체지원센터. 학회참석차 광주교대 왔다가 완주로 북진함. 소통. 공유. 공감. 관계를 매개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어 특성을 압축한 단어다. 단순한 글자가 아니다..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21
네이버오피스 QR코드 활용한 걷기실천율 설문조사 간단하다. 엄청 간단하다. 설문결과를 실시간으로 통계처리까지 해서 비쥬얼라이징한 그래프로 보여준다. 진해걷기운동지도자분들이 설문참여자에게 소정의 기념품, 에코물병을 드린다. 이렇게203040여성만 대상으로 설문을 받았다. 집계결과 250명, 불과 30분만에 종료. 할일하고 맛점하..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19
워킹리더양성교육과정 11년째, 전국 최장기록 2007년부터 한해도 거르지 않고 11년째 이어오고 있다. 진해보건소의 장기프로젝트인 마을건강리더양성사업이 주목 받고 있다. 그동안 340여명의 지억주민이 이 교육과정을 수료했으며 100여명의 걷기지도자는 걷기동아리 활동과 걷기좋은 환경조성을 위해서도 다양한 일에 동참하..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19
커뮤니티케어 실현을 위한 찾아가는 주민건강증진 프로젝트 1, 2, 3호점에서 동시에 생애주기별 신체발달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수행 한다.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찾아오기 어려운 이동권 취약그룹을 위해 그들의 생활터로 찾아가는 주민건강증진 프로젝트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욱 기대..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18
걷기가 커뮤니티를 바꾼다 세계보건기구 주관. 아시아태평양 건강도시연맹 가입도시를 대상으로 심사한 결과, 활동적인 생활환경조성 분야에서 노력을 인정받아 국제상을 받았다. "누구랑 무엇을 어떻게 하면 보다 활동친화적인 도시를 만들수 있을까?" 365일 24시간 생각하고 실천하는 우리의 애씀.. 건강마을만들기 사업 2018.10.18